러시아 10월 혁명의 의의와 국제적 반향

노동사회

러시아 10월 혁명의 의의와 국제적 반향

편집국 0 8,450 2013.05.29 09:14

*****************************************************************************************************
세계노동운동사 목차

제1장 노동자계급의 형성과 노동운동의 발생
제2장 정치적 자립을 향한 노동운동 전진(Ⅰ)
제3장 정치적 자립을 향한 노동운동 전진(Ⅱ)
제4장 독점자본주의 단계의 노동운동(Ⅰ)
제5장 독점자본주의 단계의 노동운동(Ⅱ)
제6장 20세기 노동운동 발전의 새로운 단계(Ⅰ)
제7장 사회주의 혁명과 국제노동자계급
제1절 러시아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
제2절 ‘이중권력 시기’ 혁명의 성장·전화
제3절 10월 사회주의 혁명의 승리
제4절 러시아 10월 혁명의 의의와 국제적 반향 

* 지난 연재분은 연구소 홈페이지(
www.klsi.org)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세기의 역사는 러시아 혁명과 그것의 직접적·간접적 결과 없이는 이해할 수 없다. 이는 특히 러시아 혁명이 서방으로 하여금 제2차 세계대전에서 히틀러 독일을 이길 수 있게 해준 동시에, 자본주의로 하여금 스스로를 개혁하도록 고무하고 -역설적이게도- 대공황에 대한 소련의 명백한 면역을 통하여 자유시장이라는 정통교리에 대한 믿음을 버리도록 고무함으로써 자유주의적 자본주의의 구세주인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Hobsbaum, 1996: 84).

러시아 10월 혁명과 국제 노동자계급운동의 성장

10월 사회주의 혁명의 승리는 소비에트 러시아에서 새로운 사회주의 수립을 이룩했습니다. 또한 유럽 여러 나라들에서, 나아가 다른 대륙 여러 나라들에서까지 혁명적 고양의 시기를 열어 젖혔죠. 한편, 세계를 뒤흔든 러시아 혁명은 레닌이 오래전부터 예측했던 일반적인 패턴에 따라 이루어졌습니다. 러시아에서 혁명적 사건의 전개를 통해 매우 극적으로 실현된 그 계획의 주요 내용은 아래 상자와 같습니다( Foster, 1956: 237). 

*****************************************************************************************************
⑴ 혁명의 첫 단계는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이며, 그것은 레닌이 주장한 대로 대중의 점증하는 압력하에 한층 더 높은 차원의 사회주의 단계로 이행했다. 
⑵ 혁명은 레닌이 예견한 대로 3월 혁명(2월 혁명)에서 노동자계급과 거대한 농민대중의 광범위한 동맹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11월 혁명(10월 혁명)에서는 빈농층을 포함한 동맹을 통해 성취되었다. 
⑶ 혁명은 폭력적이었다. 그것은 레닌이 말한 바와 같이 지주와 자본가들이 주로 무력과 내전이라는 방식으로 인민의 요구에 대응했기 때문이었다. 
⑷ 총체적 운동은 레닌의 유명한 조항들 즉, 1907년 슈투트가르트의 반전 결의, 제국주의 전쟁을 자본주의 전복과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전쟁으로 이행하는 것 등을 실현시켰다. 
⑸ 노동자계급은 당과 더불어 앞장섰으며, 혁명의 모든 단계에서 주도적인 세력이었다. 
*****************************************************************************************************


sooya_01.jpg
[ 트로츠키, 레닌, 카메네프가 스베들로프 광장 집회 후 대화하고 있다. (1919년) ]

러시아 10월 혁명은 국제 노동계급운동에서 매우 중대한 의의를 갖습니다(USSR Academy of Sciences, 1980, volume 4: 17~21). 첫째, 10월 혁명의 결과로서 러시아 노동자계급이 역사상 처음으로 지배하는 계급, 통치하는 계급으로 등장했다는 사실입니다. 혁명은 모든 일하는 대중과 대다수 민중을 역사적 창조의 과정 속으로 끌어들였죠. 특히, 소비에트 노동자계급은 국제적으로도 노동자계급의 지지와 공감을 상당한 정도로 획득했어요. 또한 자본주의로 포위된 소비에트 공화국의 독립과 존재를 지키면서 자국을 노동자계급을 위한 해방투쟁의 전선기지( ?) 로 전환시키고자 했죠. 

둘째, 10월 혁명의 승리는 국제노동자계급의 처지를 근본적으로 강화했으며, 그들에게 혁명적 변화를 위한 새로운 지렛대를 제공했습니다. 노동자계급의 국제적 행동이 이만큼 규모가 컸던 것은 역사상 처음이었죠.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는 슬로건이나 이론적 원칙일 뿐만 아니라 노동자계급의 모든 민족적 부대에 대해 힘의 적극적인 원천이 되었습니다.

셋째, 10월 혁명 이후 국제 노동자계급의 이데올로기 및 의식면에서의 일정한 변화가 혁명적 전위의 계급적 자각 성장과 결합되면서, 혁명적 분위기가 한층 고양됐습니다. 10월 혁명 이전에는 국제 노동자계급의 혁명적 의식은 주로 자본주의적 착취와 억압에 대한 저항 감정에 따라 형성되었죠. 또한 사회주의에 대한 확신은 대개 사회민주주의적 선전과 마르크스주의 문헌에 의해서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10월 혁명 이후에는 사회주의가 추상적 이상에서 실재(?)로 전화했으며, 세계혁명 과정과 국제관계들에서 점점 유력한 요인이 되었던 거죠.

넷째, 사회민주주의 정당과 제2인터내셔널이 처음에는 은밀하게, 나중에는 공공연하게 개량주의적이고 배외주의적 처지로 이행한 뒤에는 노동운동은 전 세계적 규모에서 또 대부분의나라들에서 혁명적 전위를 조직하지 못했습니다. 부르주아지의 반격, 파시즘과 새로운 전쟁 위험의 증대, 대중의 혁명적 행동 후퇴 등의 상황에서 노동자계급의 공동행동과 통일행동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게 되었죠. 이러한 필요 속에서 20세기 초, 국제 노동자계급의 반파시즘 투쟁, 세계 사회주의체제의 창설, 식민지주의로부터의 해방, 평화·민주주의·사회주의를 이룩하기 위한 투쟁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될 정책의 기초가 형성됐던 겁니다. 

다섯째, 10월 혁명의 승리와 더불어, 혁명투쟁에서 주체적 요소의 중대성이 더욱 명확하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사회와 국가가 처음으로 자연발생적인 상태에서가 아니라 수백만 대중의 의식적·적극적 행동의 결과로서 건설되었습니다. 이것을 앞에서 지도한 것은 볼셰비키였고, 그 중심에 레닌이라는 사람이 있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죠. 

sooya_02.jpg
[ 혁명의 성공에 환호하는 병사들. ]

러시아 10월 혁명에 대한 세계 각국의 반향

10월 혁명이 당시 세계에 던진 직접적인 영향은 실로 다양하면서도 다면적인 것이었습니다. 모든 진보세력이 10월 혁명의 영향을 실감할 수 있었을 겁니다. 그러나 국가나 지역의 구체적인 역사적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 사회적 계층의 정치적 성숙 수준과 성격에 따라, 10월 혁명은 각기 다른 반향을 불러일으켰죠. 

소비에트 권력 수립과 그것의 대외적 포고에 대한 다른 나라 진보세력의 최초 반향은, 이미 개시된 정치·사회적 변혁의 규모와 깊이에 대한 감동 그 자체였어요. 그리고 이 방대한 국가의 수백만에 이르는 피억압, 피착취 대중을 이끌었던 소비에트 지도자들의 대담성에 대한 감명이었습니다. 이제 10월 혁명 직후 각국에서 보였던 반향을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하죠(USSRAcademy of Sciences, 1980, volume 4: 139~147).

당시 독일에서 배포된 비합법 전단은 다음과 같은 표현을 담고 있었습니다. “러시아의 영웅적인 형제들은 자국 악당들의 저주받은 보루를 쓸어 없앴다. …… 그대들의 행복, 그대들의 구원은 그대들이 러시아 형제들의 사례를 따를 결심과 역량을 가지고 있는가 없는가에 달려 있다. …… 승리한 혁명은 미치광이 같은 전쟁이 지배하는 전장에서 단 하루의 전투가 요구하는 정도의 희생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기관지는 이렇게 밝혔습니다. “오늘날 매우 의의 깊은 사건이 벌어졌다. 프롤레타리아트 독재가 페트로그라드에서 현실적인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 우리는 오늘 우리의 러시아 형제들에게 따뜻한 소망을 보낸다. 만일 그들이 대담하게 벌여놓은 이 투쟁에서 승리를 거둔다면, 국제 프롤레타리아트의 해방투쟁에서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이다. 러시아에서 그들은 우리의 공통적인 목적을 위해서, 그리고 다른 무엇보다 평화를 이룩하려는 목적을 위해서 투쟁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1917년 12월2일 체코 프라하에서 일어난 노동자 시위에서는 소비에트 정부의 강화 제의를 환영하면서, “체코의 사회민주주의적 프롤레타리아트는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공화국을 방위하기 위해 위대한 투쟁을 벌이고 있는 러시아 노동자들과 함께 한다”고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sooya_03.jpg오스트리아의 저명한 사회주의자 오토 바우어는 러시아군 포로에서 빈으로 막 돌아온 뒤 이렇게 적었습니다. “유럽 프롤레타리아트의 모든 미래는 러시아 혁명의 승리에 달려 있다. ……  독일 노동자들이 독일 영토합병주의자의 권력을 깨뜨리지 않는 한, 또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의 노동자들이 자기 나라 정부에 대해 강화 체결을 강제하지 않는 한 러시아 혁명만으로 전쟁을 종식시킬 수는 없을 것이다.”

프랑스에서는 당시 평화를 위해 전력을 다하여 투쟁해야 한다는 결의들이 노동자들로부터 나왔습니다. 어느 급진적인 신문은 “러시아에서 노동자계급이 주도한 혁명이 발발했다. …… 프랑스에서도 러시아처럼 격렬하지는 못해도 유사한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부르주아지가 세운 건물의 벽에는 지금까지 한 번도 나타나지 않았던 균열이 보이고 있으며, 우리는 이 건물이 눈에 띌 정도로 흔들리는 광경을 목격하게 될 것이다.”고 적었죠.

영국에서는 이미 1917년 여름에 “러시아를 따르자”는 슬로건을 내걸고 노동단체와 사회주의단체의 협의회가 리즈에서 열렸습니다. 이 협의회는 결의에서 노동자·병사 소비에트 결성을 단호하게 지지했죠. 또한 사회주의 신문인 『워커스 드래드노트』(The Workers' Dreadnought)는 “볼셰비키의 승리로 모든 나라 인민들에게 자유를 위한 문이 열리게 되었다.”고 주장했죠. 영국 사회당이 발간하는 주간지 『콜』(The Call)은 “러시아에서는 노동자계급과 근로농민대중 그리고 병사들이 혁명적 사회민주당의 지도하에 권력을 획득하고, 자본주의 사회제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일련의 조치들을 실시하여 사회주의 지배를 확립하려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노동자계급도 러시아 혁명을 경이의 눈으로 바라봤어요. 미국 사회당 좌파 기관지 『계급투쟁』(Class Struggle)은 “러시아 혁명은 전 세계에 중대한 놀라움을 안겨주는 일로서 사회주의 혁명에 대한 갈망이 눈앞의 현실로 전환된 것이다.”라고 밝혔습니다. 또 1917년 12월 공업도시 시애틀에서 열린 집회에서 노동자들은, “자본에 대한 승리를 최초로 쟁취한 러시아 노동자들”에게 찬사를 보내기도 했죠. 그들은 러시아 노동자들에게 공감을 표시하고 실제로 프롤레타리아적 연대를 입증하게 될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 

일본 노동자들 역시 10월 혁명의 해방지향의 목적에 대해 깊은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도쿄와 요코하마의 사회주의자단 실행위원회는 “러시아 동지들”에게 보내는 인사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어요. “러시아 혁명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우리는 여러분의 용감한 행동을 대단한 열광을 가지고 지켜보았다. 여러분이 성취한 것은 우리 국민들의 정서에 지대한 영향을 던져 주었다. 우리는 일본 군대를 시베리아에 보내는 것에 대해 분연히 반대하고 있다. 그 이유는 우리가 러시아 파병이 러시아 혁명의 자유로운 진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일본 정부가 여러분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을 막을 만한 힘을 갖추지 못한 것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는 혁명의 붉은 깃발이 머지않아 일본 전국에도 휘날리게 될 것을 여러분들에게 확신시킬 것이다.”

아시아의 식민지 및 종속국가들의 피압박민족에 각별한 중요성을 갖는 것은, 10월 혁명이 역사상 처음으로 모든 민족 -강대국이나 약소국을 막론하고 또한 선진국이나 후진국을 막론하고- 의 평등을 명확히 선언했다는 사실 때문이었습니다. 혁명을 성취한 이 나라는 유럽뿐만 아니라 아시아 나라들과도 지리·경제·역사적인 관계들을 갖고 있었죠. 때문에 혁명은 아시아 여러 나라들에서 추진되는 반제국주의 운동의 고양을 크게 촉진했고, 동시에 이 운동들이 혁명으로 세워진 소비에트 정부가 진실 되게 믿을 수 있는 동맹자들이 되었죠. 

중국의 지도자 쑨원(손문)은 1918년 레닌과 소비에트 정부 앞으로 서신을 보내, “귀국의 혁명당이 벌이고 있는 힘든 투쟁에 대해 깊은 경의를 표합니다.”라고 했습니다. 같은 편지에서 그는 “중국과 러시아의 혁명 정당이 공동투쟁을 위해 단결할 것을 희망합니다.”라는 의지를 피력하기도 했죠. 

인도의 독립운동 지도자 자와할랄 네루는 다음과 같이 회상했습니다. “위대한 레닌이 지도한 10월 혁명과 거의 동시에 우리는 인도에서 자유를 위한 투쟁의 새로운 국면을 시작했다. …… 이 투쟁은 마하트마 간디가 지도한 것이었지만 우리는 그것과는 다른 길을 가고 있었다. 우리는 레닌을 존경하고 있었으며, 그가 이룩한 모범적 사례가 우리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터키의 민족해방지도자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역시 소비에트 정부 앞으로 보낸 메시지에서, “자기 나라의 족쇄를 끊는 데 만족하지 않고 전 세계의 해방을 위한 유례를 찾기 어려운 투쟁을 2년 넘게 감행하고 있으며, 그런 가운데 지상에서 억압을 영구히 일소하기 위해 미증유의 고통을 기꺼이 감내하고 있는 러시아 인민에게 터키 인민들이 품고 있는 감탄의 마음”을 표명하기도 했죠. 

이 밖에도 라틴 아메리카와 남아프리카 나라들에서도 러시아 혁명에 대해 깊은 동조를 표시하면서 민족해방투쟁의 새로운 국면을 여는 경우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러시아 10월 혁명이 다른 나라의 혁명운동이나 민족해방투쟁의 발전에 끼치는 영향이 아무리 크다고 할지라도, 각국에서 이루어지는 혁명의 성숙은 그 나라 특유의 조건하에서 진전되는 것이죠. 또한 사회적 발전 수준과 계급의 정치적 세력 균형관계에 따라 규정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참고문헌>
 김영식, 1989, 『세계민중운동사』, 거름.
 박남일, 1994,『반역의 세계사 [하]』,계백.
 이무열, 1999, 『세계사 작은 사전』, 가람기획.
 마르코프, 1989,『 소비에트 노동조합운동사』(최규엽 역),친구. 
 Carr, Edward H. 1950~1978, The Bolshevik Revolution, 1917~1923(History of Soviet Russia),이지원 옮김, 1985, 『볼셰비키 혁명사』, 화다.
 Foster William Z. 1956, Outline History of the World Trade Union Movement ,International Publishers·New York.
 Hobsbaum, Eric, 1996, The Age of Extremes, A Division of Random House, Ins. New York, 이용우 옮김, 1997, 『극단의 시대:20세기 역사(상)(하)』,까치.
 The USSR Academy of Sciences, The Institute of The InternationalWorking-Class Movement, 1976, The International Working-Class Movement-Problems of History and Theory volume 3,―Progress Publishers Moscow.
 Trotsky, Leon, 1932, The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translated by Max Eastman, Library of Congress, 최규진 옮김, 2003~2004,『러시아 혁명사(상)(중)(하)』,풀무질.
 


  credit.gif
 
data_01.gif
 

 

  • 제작년도 :
  • 통권 : 제12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