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페이퍼 2025-02]
대기업 비정규직 규모
- 고용형태 공시제 결과(2024년 3월 현재) -
작성자: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사장)
노동부 고용형태 공시제(2024년 3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o 고용형태 공시제 대상 기업은 2014년 2,942개소에서 2024년 3,887개소로 증가.
- 이들 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436만명에서 558만명으로 증가.
o 대기업 비정규직(비율)은 2014년 162만명(37.3%)에서 2024년 238만명(41.2%)으로 증가.
- 직접고용 비정규직(비율)은 75만명(17.2%)에서 135만명(23.5%)으로 증가.
- 간접고용 비정규직(비율)은 87만명(20.0%)에서 102만명(17.7%)으로 수는 증가, 비율은 감소.
o 문재인 정부 때 대기업 비정규직 비율은 2017년 40.3%에서 2021년 37.9%로 감소.
- 윤석열 정부 때 대기업 비정규직 비율은 2022년 39.8%에서 2024년 41.2%로 증가.
o 2024년 남성 비정규직(비율)은 146만명(40.0%), 여성 비정규직(비율)은 92만명(43.3%).
- 남성은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율이 높고, 여성은 직접고용 비정규직 비율이 높음.
o 기업 규모가 클수록 비정규직 비율, 특히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율이 높음.
- 1만 명 이상 거대기업 비정규직 비율은 46.2%,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율은 33.3%로 가장 높음.
o 산업별로는 건설업,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 부동산업의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음.
- 제조업에서는 기타운송장비, 1차금속제조업의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음.
o 광역시도 중 서울과 경기가 가장 많은 비정규직을 보유.
- 비정규직 비율은 울산(51.1%), 광주(50.2%), 전남(49.8%)이 가장 높음.
o 88개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의 비정규직(비율)은 99만명(40.4%).
- 간접고용 비정규직(비율)은 74만명(30.4%).
o 10대 재벌 소속 기업의 비정규직(비율)은 60만명(39.6%), 간접고용은 49만명(32.7%).
- GS(63.0%), HD현대(58.7%), 롯데(55.3%). 포스코(52.8%), 한화(51.3%)는 50%가 넘음.
- LG(13.5%)와 SK(25.2%)는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낮음
o 1만명 이상 거대기업 비정규직(비율)은 77만명(46.2%), 간접고용은 55만명(33.3%).
- 맥서브(99.0%), HDC현대산업개발(92.8%), 한국맥도날드(89.4%), 한진(88.7%), 현대건설(88.2%) 등 14개사는 비정규직 비율이 80%가 넘음.
- LG유플러스(2.8%), LG디스플레이(3.2%), 서울교통공사(3.7%), KT(4.6%), 에스텍시스템(5.0%), SCK컴퍼니(5.4%) 등 6개사는 비정규직 비율이 10%가 안 됨.